728x90
반응형
SMALL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PRTU/btsMb1FnJE7/I3p71it2nCF2Pvbk7jXJdK/img.jpg)
1편에 이어서
"무모한 드론 비행"은
법적으로 금지된 행위는 아니지만,
안전을 고려하지 않거나,
타인에게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
높은 비행을 말하는데,
주로 조종자의
부주의, 경험부족, 무리한 시도에서
발생합니다.
그래서 좀 더 자세하게 어떤 것들이
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무모한 드론 비행 (10가지)
1. 비행 승인 없이 제한구역에서 비행
- 공항 반경 9.3km 이내
- 군사시설, 원자력 발전소, 정부 청사, 주요 국가 시설 주변
- 비행금지구역(P-구역)이나 관제권(C-구역) 내에서 허가 없이 비행
2. 야간 비행 (허가 없이)
-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드론을 날리는 행위
- 야간 비행을 하려면 사전에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의 허가 필요
3. 고도 제한 초과 비행
- 일반적으로 150m 이상의 고도에서 허가 없이 비행
4. 사람이 많은 곳에서 비행
- 행사장, 축제장, 공원, 해수욕장 등에서 불특정 다수 위로 비행
5. 사생활 침해 목적의 비행
- 타인의 집, 아파트 창문 근처에서 허가 없이 촬영하는 경우
6. 비가시권(눈으로 직접 볼 수 없는 범위) 비행
- 조종자가 직접 드론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곳에서 비행
7. 비행 허가 없이 드론을 활용한 사업 운영
- 드론 촬영을 상업적으로 활용하거나, 배달·방제·점검 등의 목적으로 비행할 경우 별도 신고 또는 허가 필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E9lN/btsMdlbNuUX/QKI5ypiTZ05xUAu6tDqLkk/img.png)
드론원스톱민원서비스 홈페이지
8. 음주 상태에서 드론 조종
- 음주 후 드론을 조종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됨
9. 무등록 드론 비행 (등록 대상일 경우)
- 2kg 이상의 드론을 비행하려면 등록이 필수이며, 미등록 드론을 날리는 것은 불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VdHT/btsMccmre2H/VXE7waanUJhBv0S1l0LUI1/img.jpg)
10. 비행 중 충돌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
- 비행기, 헬리콥터 등 다른 항공기의 항로를 방해하는 경우
- 도로, 철도, 전선 근처에서 위험하게 비행하는 경우
불법 드론 비행은 벌금이나
행정처분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,
반드시 해당 국가의 드론 비행 규정을 확인하고
비행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DDM8/btsMb16qXnI/dK2lpP0PKBWl3kpzkJIMzK/img.png)
https://blog.naver.com/jhkuk78/223754840355
#드알못 #위험한비행 #무모한비행 #드론위험비행 #불법비행 #배터리경고 #Gps경고 #gnss #신호경고 #산불현장비행 #악천후비행 #비가시권비행 #150m위반 #조종자준수사항위반 #항공안전법위반 #드론법규위반
728x90
반응형
LIST
'Drone > 드알못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드알못] 무모한 드론 비행은 어떤 것들일까(예시)?(3탄) (0) | 2025.02.11 |
---|---|
[안내] 서울, 경기(의왕,군포,과천), 인천지역 비행금지 구역 활성화 안내 (1) | 2025.02.10 |
[드알못] 위험한 상태에서 무모한 비행을 한다면? (0) | 2025.02.10 |
[드알못]K-드론배송 표준모델 알아보기 (0) | 2025.02.06 |
[드알못] 미국 LA 산불 드론 충돌사고자 벌금($65,000) (0) | 2025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