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SKT 해킹사태로
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,
국내 드론업체 대상 해킹 공격으로
주의가 요구된다는 내용입니다.
주요 기사내용을 보면,
최근 드론 개발 및 생산업체 대상으로
해킹 공격이 확인 되었다고 하는데,
도대체 어떻게 드론 해킹이 가능한지
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드론 해킹 가능한 주요 방식은?

드론은 해킹에 취약하다고
먼저 말을 하고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.
실제로 드론은 무선 통신과 GPS를
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,
보안이 취약한 경우 외부에서 해킹되어
제어권을 탈취당하거나
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.
그러면 어떤 해킹 방식이 있는지 알아보면,
해킹방식
|
주요내용
|
비고
|
스푸핑
(Spoofing)
|
가짜 GPS신호를 송신해 드론이 엉뚱한 위치로 이동하게 만듬
|
|
Wi-Fi 침입
|
드론과 조종기 간의 Wi-Fi 통신에 불법으로 접근해 제어권 탈취
|
|
재밍
(Jamming)
|
전파를 교란해 드론이 제어 불능 상태로
추락하거나 정지되게 만듬
|
|
펌웨어/앱
침입
|
드론 앱이나 펌웨어의 보안 허점을 이용해
제어권 탈취(악성코드 삽입)
|
|
영상 피드
|
드론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영상을 탈취
|
|
그러면, 드론 해킹으로 인한
위험한 사례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,
살펴보면,
드론 해킹으로 인한 위험 사례

첫 번째는, 사생활 침해
드론 카메라의 제어권을 빼앗아 촬영 내용을 감시하거나 도용
두 번째는, 정보 유출
산업용 드론의 영상 데이터, 지도 정보 등 민감 자료 탈취

세 번째는, 테러 및 범죄
해킹을 통해 드론을 고의 충돌시키거나 위험물 운반에 악용

네 번째는, 공항·행사장 교란
공중 행사나 공항 주변에서 드론을 조종해 혼란 유발
그 밖에도 크고 작은 위험한 사례가
발표 되지는 않았지만,
드론 해킹으로 더이상 위험한 사례가 발생되지 않아야 합니다.
그러면 위험한 사례에서 보았듯이,
보안 대책은 없을까?
보안 대책은?

첫 번째는, 암호화된 통신 사용
드론 제조사에서는 조종기와 드론 간의 신호를
암호화하여 해킹을 차단해야 합니다.

두 번째는, 펌웨어 수시 업데이트
드론 제조사에서 최신 보안 패치를
수시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
드론 사용자는 최신의 펌웨어를
수시로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.

세 번째는, 2단계 인증 적용
제조사에서는 드론 앱과 드론 간 연결 시
추가 인증을 통해, 드론 해킹 시도를
원천 차단하는 방법

마지막은, 안티 시스템 구축
공항 및 공공 장소나 국가 주요시설 등,
비행 금지 및 페일세이트 시스템을 구축해서
드론의 접근 자체를 통제해야 합니다.

대부분 드론 제조사에서
앞으로도 현실적인 보안 대책이
계속 필요하며,
드론을 안전하게 운용하려면
드론 사용자 분들도
정기적인 점검과 수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
안전하게 내 드론을 지키시기 바랍니다.

#드알못 #드론해킹 #skt해킹 #스푸핑 #spoofing #wifi #jamming #드론문제점 #drone문제점 #드론해킹방식 #드론보안대책
'Drone > 드알못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드알못] 배터리 충전 시 열이 발생한다면? (0) | 2025.05.09 |
---|---|
[드알못] 비올 때 드론 비행하면 위험한 이유 (0) | 2025.05.07 |
[드알못] 드론이 물에 빠졌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? (0) | 2025.05.06 |
[드알못] 드론 관련 행정처분 알아볼까?(과태료 및 벌금) (2) | 2025.05.05 |
[드알못]촬영용 드론중에 고가 드론은? (2) | 2025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