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
항공촬영승인 5

[드알못] 드론 비행에 꼭 알아야 할 기본 용어(드론안전 및 규제 관련)-3탄

​드론을 처음 시작하면 가장 설레는 순간은 하늘로 띄우는 그 순간일 것입니다. ​하지만 드론은 단순한 취미용 장난감이 아니라, 항공법과 안전 규정을 지켜야 하는 항공기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. ​특히 초보자일수록 안전과 관련된 기본 용어를 정확히 이해해야 불필요한 사고를 막고, 법적 문제도 피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드론 비행에 반드시 필요한 안전 및 규제 관련 용어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.​드론 안전 및 규제 관련 용어​1. 비행금지구역(Prohibited Area) - P구역​드론을 날릴 수 없는 구역을 의미합니다. 대표적으로 공항 주변, 군사시설, 정부청사, 원자력발전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. ​이런 구역에서 드론을 띄우면 항공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으며, ​적발 시 과태료나 형..

Drone/드알못 2025.08.27

드론으로 사진촬영 하는데도 허가가 필요할까?

​최근 드론을 활용한 사진 촬영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. ​높은 하늘에서 내려다본 풍경은 일반 카메라로 담기 힘든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기 때문에, ​여행지나 일상 기록뿐만 아니라 상업 촬영에서도 드론은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 ​그런데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. ​바로드론으로 사진만 찍는데도 허가가 필요할까?​바로 “드론으로 사진만 찍는데도 허가가 필요할까?” 하는 점입니다. ​결론부터 말하자면, 촬영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비행 구역과 안전 규정이 관건입니다.​국방부에서는기존의 항공촬영 허가제가 폐지되고, 항공촬영 신청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(2022년12월1일부)​드론 촬영에 항공촬영 신청이 필요한 경우 ​드론 촬영에 신청이 필요한 경우​드론으로 단순히 사진이나 영상을 ..

Drone/드알못 2025.08.26

청와대 인근 비행 및 촬영 접수 제한(8/1~10/30)

드론원스톱민원서비스​청와대 인근의 비행금지구역 항공고시보 발행으로해당 지역의비행승인 및 촬영 접수가 제한됩니다.​자세한 내용은 드론원스톱민원시스템 및항공고시보(노탐 Notam)를 참고 하셔야 합니다..​- 기간 : 8.1.(금) 0:00 ~ 10.30.(목) 23:59- 지역 : 청와대 인근 반경 0.5NM(약 926m)- 항공고시보 정보 : D01750/25또한서울 중심부는 군사·정치적 이유로 ​사전 허가 없이 비행이 거의 불가능한 지역이 많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​​#청와대비행 #비행승인 #항공촬영승인 #비행금지구역 #서울비행승인 #청와대드론비행 #수방사 #항공고시보 #노탐 #notam

카테고리 없음 2025.07.31

[드알못]서울 임시비행금지구역 활성화(5.27~30)

© robsonhmorgan, 출처 Unsplash ​ ​ 수도권 및 서울 지역에서는 드론 비행을 하려면 항상 비행승인 및 항공촬영 승인을 받으셔야 합니다. ​ 대부분 평일보다는 주말에 한정해서 비행 승인 및 항공촬영 승인 되는 경우가 많은데, © matreding, 출처 Unsplash 갑자기 국가 및 국제적 행사가 있을 때는 임시로 비행금지구역이 활성화 된다는 내용도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합니다. ​ 그래서 임시로 비행금지구역이 노탐(Notam)을 통해서 공고되는데, ​ 참고로 드론 4종이상의 자격 소지자라면, Notam(노탐)에 대해 알고 있으셔야 하고, ​ 항공종사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. © freegraphictoday, 출처 Unsplash 또한 비행 전 Xnotam 사이트에 방문하셔..

Drone/드알못 2023.05.17

[1~3종 학과] 드론 관련 신고 종류 및 해당기관(기체등록, 비행승인, 항공촬영승인 등)

© esmonde, 출처 Unsplash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학과 시험에 자주 출제 되는 문제중에 하나인 ​ 드론 관련 신고 종류 및 해당기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​ ​ ​ 신고 종류 및 신고기관 © triyansh, 출처 Unsplash 드론의 신고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. ​ 1. 기체신고(영리목적) 2. 비행승인 및 항공촬영 승인 신고 3. 말소 및 변경신고 4. 안전성인증검사 신고 5. 사고신고 ​ 신고 기관에 대해 알아보면, ​ 1. 기체신고(한국교통안전공단) 기체 신고 - 영리목적으로 사용하는 드론 TS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제는 기체신고 업무가 지방항공청에서 TS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 이관되어서 ​ 반드시 시험문제 출제 시 지방항공청이 아니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 정답을..

1
728x90
반응형
LIST